기타
DHCP VS Static IP
고구마_왕
2024. 5. 2. 11:19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동적 IP)
DHCP는 동적, 즉 움직이는 IP로, 클라이언트가 DHCP서버에게 IP를 요청하고 DHCP는 현재 사용하지 않는 IP를 클라이언트에게 잠시 임대해주는 방식이다.
따라서 같은 IP를 계속 부여하는 것이 아닌 임대시간동안 빌려주는 것이기 때문에 항상 같은 IP가 아닌 동적으로 IP가 변경된다.
Static IP(정적 IP)
Static IP는 정적, 즉 고정되어있는 IP로, 내가 사용하고 싶은 IP를 자신이 직접 입력을 해서 할당하는 방식이다.
해당 방식을 사용하게 되면 자신만의 고정 IP를 갖게 되는데, 원격접속, 웹접속등등시 IP가 동적인 경우 IP가 임대시간마다 변경되어 해당 기능 및 서비스를 사용하지 못하기에 고정된 IP를 설정해주어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구분 | DHCP | Static IP |
IP | 동적 IP | 정정 IP |
할당 방식 | DHCP서버에서 자동 할당 | 사용자 설정 |
장점 | 주소충돌방지 IP 주소관리 자동화 |
서비스 식별 용이 외부로부터 접근 가능 |
단점 | DHCP서버 장애시 주소 할당 불가 주소 할당을 위해 DHCP서버 필요 |
주소 충돌 가능성 존재 수동 설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