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NS(Domain Name System)
DNS(Domain Name System) 네임 서버라고도 불리우며, 도메인 이름과 IP주소간의 매핑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네임서버는 전 세계적으로 분산되어 있으며,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도메인 이름을 해당하는 IP주소로 해석하여 반환한다.
쉽게 말해, 도메인 이름을 IP주소로 변환해주는 시스템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클라이언트에 'www.google.com'이라는 도메인을 입력한다면, DNS서버에 해당 도메인 이름에 대한 IP주소를 요청하고 해당 IP주소를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하여 클라이언트에서 웹서버에 연결한다.
*웹배포시 업체를 통하여 도메인을 구입하는 경우가 있는데, 도메인 등록 업체는 도메인을 관리하고 DNS서버에 등록하는
프로세스를 간편하게 처리해준다. 연관이 없다고 볼 수는 없다.
DNS 서버
DNS서버는 계층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루트 DNS 서버, 책임 DNS 서버, 로컬 DNS 서버로 나뉘어진다.
가장 상위에 있는 루트 DNS서버는 전 세계에 13개가 존재한다.
.com, .net, .kr등의 최상위 도메인(TLD, Top-Level Domain)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루트 DNS 서버 하위에 있는 서버는 책임 DNS 서버로, naver.com, google.com등의 도메인에 대한 정보를 갖고 있다.
해당 도메인에 대한 정보는 도메인 등록 기관에서 관리되거나 기업/조직 내부에서 운영된다.
책임 DNS 서버 하위에는 로컬 DNS 서버가 있는데 사용자가 직접 접속하는 서버로,
주로 ISP(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 kt,sk,lg등등)에 위치한다.
해당 로컬DNS서버에는 DNS캐쉬가 남아 동일한 도메인 접속시 빠른 요청이 이뤄지도록 돕는다.
Hosts File(호스트 파일)
Hosts 파일이란, IP 주소와 도메인 주소를 매핑해주는 파일이다.
주소창에 도메인을 입력하고 접속하게 되면 DNS서버를 통하여 매핑된 IP주소를 받아 서버에 접속하게 되는데,
Hosts 파일에 도메인과 IP를 설정해둔다면 DNS서버보다 우선되어 Hosts파일에 입력된 IP로 접속하게된다.
즉, 기존에 도메인과 IP를 설정해둔 서버로 빠르게 접속하기 위한 설정파일
RHEL8의 경우, /etc/hosts에 위치하였고
Windows의 경우, C:\Windows\System32\drivers\etc\hosts에 위치하였다.
DNS와 Hosts 파일 차이
특징 | DNS | Hosts 파일 |
역할 | DNS서버에서 도메인 이름을 IP주소로 해석하는 분산된 시스템 | 로컬 시스템에서 호스트 이름을 IP 주소로 해석하는 파일 |
우선순위 | 후 | 선 |
위치 | 네트워크에 분산된 여러 DNS 서버에 저장 |
로컬 시스템에 있는 파일에 저장됨 /etc/hosts |
사용자 설정 | 일반적으로 ISP 또는 기업/조직에서 제공하는 DNS 서버를 사용함 |
수동으로 편집하여 사용자가 직접 호스트와 IP주소를 매핑 |
업데이트 | DNS레코드는 DNS서버 관리자에 의해 업데이트됨 |
로컬 시스템 관리자가 수동으로 업데이트함 |
범위 |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디바이스가 사용가능 |
로컬 시스템에만 적용 |
동작 |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함 | 호스트 이름을 IP주소로 변환함 |
캐싱 | DNS 쿼리 결과를 캐시하여 빠른 응답을 제공 | 캐싱 기능이 없으며 부팅 또는 호스트 파일이 변경될 때마다 읽음 |
*DNS 레코드 - DNS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구조로, 도메인 이름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한다.
DDNS(Dynamic Domain name System)
DNS는 고정된 IP를 매핑해준다면 DDNS는 동적 IP, 즉 유동적으로 변경되는 IP를 매핑해주는 시스템이다.
DDNS는 일정주기 및 IP변경시 네트워크의 IP주소를 감지하고, DNS서버 DNS레코드에 업데이트한다.
인터넷 및 서버의 확장과 디바이스의 증가로 인해 IP주소가 부족하게 되어 고정IP를 부여하는 것이 아닌 동적IP 즉, 네트워크 관리자가 DHCP를 사용하여 IP를 동적으로 할당하게 되었고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DDNS, 동적 IP를 매핑해주는 시스템이 생겨났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SSL/TLS (0) | 2024.05.14 |
---|---|
[LDAP] Suffix, Schema, ObjectClass, DN (0) | 2024.05.09 |
DHCP VS Static IP (0) | 2024.05.02 |
SSH(Secure Shell) (0) | 2024.05.02 |
가상화 (0) | 2024.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