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24)
[karaf] karaf cxf 설치 cxf를 설치하기 위해선 karaf의 repository의 cxf를 추가해주는 것이 선수되어야 한다.  karaf - 4.3.10 / JDK - 1.8을 쓰니 발생하는 오류였음karaf - 4.2.16으로 하향  4.2.16으로 하향 후, 다시 설치하여도 오류가 발생  3.6.3버전이 들어가는 것으로 확인되어 3.4.3으로 재설정install하게 되면 정상적으로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No services have been found라는 창이 노출되며 변경된 것을 확인되나, 어떻게 적용하지더보기원래라면 이런 화면이 나왔었다.
[Karaf] Apache Karaf - Web Console 설치 feature:install /*번들 설치 명령어*/feature:install webconsolewebconsole 설치 명령어 입력하면 resolve 에러가 발생한다.caused by를 확인하면, osgi.http를 해결할 수 없다는 문구가 뜨는데, http를 참조하지 못해서 그런것 같다. 순으로 입력하면 정상적으로 설치 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webconsole을 설치하면, localhost:8181/system/console 입력시 로그인창이 뜨는 웹이 활성화 됨을 확인할 수 있다.사용하기 위해선 ID/PW가 필요한데.  {karaf설치경로}/etc/user.properties 파일에서 확인할 수 있다.ID=PW,Authority(or Authority Group) 순으로 설정할 수 있..
Replication & Clustering ReplicationReplication이란 두개 이상의 DB 또는 저장소를 말그대로 복제하는 것이다.대표적인 방식으로는 P2P, Master/Slave 방식이 있는데,데이터 읽기 처리와 쓰기 처리를 분담하여 처리하여 부하를 줄이기도 하고,사용 우선순위를 두어 해당 서버 장애 발생 또는 작업중일시 다음 순위에 서버가 작업하고 데이터를 동기화하는 방법 등서버의 고가용성, 무결성, 확장성을 위하여 사용한다.   ClusteringClustering이란 똑같은 구성을 병렬로 연결한 상태를 말한다.쉽게 말하자면 여러대의 서버 컴퓨터를 마치 하나의 가상 컴퓨터처럼 연결하여 업무를 수행하고,연결된 서버중 특정 하나의 서버에서 장애 발생시, 연결된 다른 서버에서 해당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가용성을 높이고로드밸런서..
P2P (Peer to Peer) VS Master/Slave P2P (Peer To Peer)Peer : 또래, 동료P2P는 네트워크로 같이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들이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기능을 하는 네트워크즉, 컴퓨터끼리 직접적으로 통신하는 방식이다. 기존에는 중앙 서버방식으로 중앙 서버를 통하여 통신하는 Server-Based 방식으로 통신을 구현하였다면,P2P는 컴퓨터들이 서로의 클라이언트고 서버가 되는 방식으로 직접 통신하며, 중앙 서버 없이 데이터를 공유하기도 한다.처음 P2P는 인터넷 속도가 느려, 널리 사용되는 방법은 아니였으나, 인터넷 속도가 점점 빨라짐에 따라 상용 가능한 스펙을 갖게되었다.  - 장점 : 중앙에 서버를 둔 Server-Based 방식은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가 조작되거나 훼손된 경우 변질된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으나, P2P는 중앙에..
인증서 파일 형식 인증서 파일 형식 1. PEMPEM (privacy Enhanced Mail)은 Base64로 인코딩한 텍스트 형식의 파일이다.개인키, 서버인증서, 루트인증서, 체인인증서 및 CSR등 SSL관련 모든 과정에서 사용되는 기본 포맷으로가장 광범위한 산업 표준 포맷이다.더보기아스키코드중 문자코드에 영향을 주지 않는 공통 64개의 문자들로 이루어진 문자2. CRT인증서 파일로 불리우며, 주로 유닉스/리눅스 기반 시스템에서 통용되는 확장자로 CER 확장자를 붙이기도 한다.CRT확장자 보다는 파일 포맷이 명확하도록 PEM, DER 확장자로 붙이는걸 권장 3. CER인증서 파일로 불리우며, 주로 윈도우 기반에서 인증서 파일임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는 확장자이다.CRT확장자와 동일한 의미이며, CER이나, CRT 모두..
SSL/TLS SSL/TLSSSL(Secure Sockets Layer)은 웹사이트와 브라우저 사이(또는 두 서버 사이)에 전송되는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인터넷 연결을 보호하기 위한 프로토콜,  TCP/IP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통신에 적용되며, 통신 과정에서 전송계층 종단간 보안과 데이터 무결성을 확보해준다. TLS(Transport Layer Security)는 SSL의 업데이트 버전으로,SSL의 최종버전 3.0과 TLS의 최초버전은 차이가 크지 않다. Nerscape Communication이라는 회사에서 WWW(World Wide Web)의 통신을 안전하게 유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SSL이 발명 되었고, 이것이 점차 폭 넓게 사용되며 표준화 기구인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의..
[LDAP] Suffix, Schema, ObjectClass, DN Suffixsuffix는 접미사라는 뜻으로 디렉토리 계층 구조(트리구조)에서 다양한 CN, DN등등으로 규칙과 정보를 저장할 수 있게 하는 최상위 개념이다.즉, ldap 구조에서 최상위 디렉토리로 보면 된다.*SECAUTHORITY=DEFAULT라고 되어있는 디렉토리를 Suffix로 보면 된다.설정으로 해당 디렉토리를 CN=PRECURS, CN=COM으로 바꿀 수 있다.( /opt/ibm/ldap/V10.0/sbin/idscfgsuf -I (ldap명) -s cn=precurs, cn=com )  SchemaSchema는 LDAP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의 구조와 형식을 정의하는 규칙의 모음이다.LDAP서버에는 단일 Schema가 존재하는데,고유이름으로 저장되며Objectclass, Attributetype..
DNS와 Hosts File(호스트 파일) DNS(Domain Name System)DNS(Domain Name System) 네임 서버라고도 불리우며, 도메인 이름과 IP주소간의 매핑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한다.네임서버는 전 세계적으로 분산되어 있으며,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도메인 이름을 해당하는 IP주소로 해석하여 반환한다.쉽게 말해, 도메인 이름을 IP주소로 변환해주는 시스템이다.예를 들어, 사용자가 클라이언트에 'www.google.com'이라는 도메인을 입력한다면, DNS서버에 해당 도메인 이름에 대한 IP주소를 요청하고 해당 IP주소를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하여 클라이언트에서 웹서버에 연결한다. *웹배포시 업체를 통하여 도메인을 구입하는 경우가 있는데, 도메인 등록 업체는 도메인을 관리하고 DNS서버에 등록하는 프로세스를 간편하게 처리해준..
DHCP VS Static IP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동적 IP)DHCP는 동적, 즉 움직이는 IP로, 클라이언트가 DHCP서버에게 IP를 요청하고 DHCP는 현재 사용하지 않는 IP를 클라이언트에게 잠시 임대해주는 방식이다.따라서 같은 IP를 계속 부여하는 것이 아닌 임대시간동안 빌려주는 것이기 때문에 항상 같은 IP가 아닌 동적으로 IP가 변경된다.  Static IP(정적 IP)Static IP는 정적, 즉 고정되어있는 IP로, 내가 사용하고 싶은 IP를 자신이 직접 입력을 해서 할당하는 방식이다.해당 방식을 사용하게 되면 자신만의 고정 IP를 갖게 되는데, 원격접속, 웹접속등등시 IP가 동적인 경우 IP가 임대시간마다 변경되어 해당 기능 및 서비스를 사용하지 못하기에 고정된 ..
SSH(Secure Shell) SSH(Secure Shell)뜻 그대로 보안쉘, 암호화를 사용하여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연결을 보호하는 프로토콜이다.사용자의 인증, 명령, 출력, 파일 전송등등 네트워크 공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암호화된다. 통신이 노출되더라도 이해할 수 없는 암호화된 문자로 보인다. 서버에 접속할때 비밀번호 대신 Key를 제출하는 방식으로, 비밀번호보다 높은 수준의 보안요건을 필요로 할때 사용된다.SSH는 보안 접속을 통해 RSH, RCP, RLogin, REXEC, TELNET, FTP등을 제공한다. *RSH(Remote Shell) - 원격시스템에서 다른 시스템(컴퓨터)에 쉘 명령을 내릴 수 있는 명령 프로그램RCP(Remote Copy Protocol) - 원격시스템 간에 파일을 복사하는 프로토콜 및 프로토콜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