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치 | 이름 | 설명 |
/ | 루트 | 최상위 디렉토리 디렉토리들의 절대경로를 표기할 때, 이 디렉토리로부터 시작함 |
/bin | 바이너리 | 이진파일(실행파일) 기본적인 명령어가 저장된 디렉토리 리눅스에서 자주 사용되는 mv,cp,rm등과 같은 명령어들이 이 디렉토리에 저장 |
/boot | 부트 | 리눅스의 부팅에 필요한 정보를 가진 파일들이 있는 디렉토리 즉, GRUB과 같은 부트로더에 관한 파일들이 이 디렉토리에 존재 |
/dev | 디바이스 | 시스템 디바이스(장치)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디렉토리 /dev/sda(하드디스크 장치파일), /dev/cdrom(CD-ROM) 장치파일 등과 같은 장치파일들이 여기에 있다. 예를 들어 마우스, 키보드등의 디바이스와 관련된 파일들 즉 물리적인 장치가 파일화되어 저장 |
/etc | 시스템의 대부분 설정 파일을 두는 디렉토리 /etc/sysconfig - 시스템 제어판용 설정파일 /etc/passwd - 사용자 관리 설정 파일 /etc/named.conf - DNS설정파일 |
|
/home | 홈 | 사용자들의 홈디렉토리가 있는 곳 사용자를 추가하면 사용자의 id와 동일한 디렉토리가 이곳에 자동으로 생성 |
/lib | 라이브러리 | 커널이 필요로 하는 각종 라이브러리 파일, 커널모듈파일 등이 존재하는 디렉토리 |
/media | 미디어 | DVD,CD-ROM,USB등의 외부장치들의 마운트 포인트(연결)로 사용되는 디렉토 |
/mnt | 마운트 | /media와 비슷한 기능을 한다. 다만 media는 os에서 자동으로 마운팅 해주는 포인트로 주로 사용되며, mnt는 사용자가 직접 마운트하는 경로로 사용된다. 예를들어 컴퓨터에 USB를 꽂아 OS에 자동으로 마운팅된다면 /media내에, 외부에 있는 디스크등을 직접 명령어를 통해 마운트한다면 /mnt에 위치하게 된다. |
/opt | 옵트 | 추가 응용프로그램 패키지 설치 장소 패키지 매니저가 자체적으로 설치/삭제를 수행함 |
/proc | 프로세스 | '가상파일시스템'이라고 하는 곳으로 현재 메모리에 존재하는 작업들이 파일 형태로 존재하는곳 |
/root | 루트 | 관리자 계정 root 사용자의 홈디렉토리 |
/sbin | 시스템 바이너리 | 시스템 이진 파일(실행파일) ifconfig, ethtool,halt,e2fsck와 같은 시스템 명령어들을 저장하고 있는 디렉토리 |
/usr | 유저 | 일반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디렉토리 |
/var | 바 | 기타 모든 다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파일들이 저장되며, 로그파일, 데이터베이스 캐싱파일, 웹서버 이미지파일 등이 위치하는 디렉토리 |
/sys | 시스템 | 디바이스를 관리하기 위한 가상 파일 시스템 디렉토리 |
/run | 런 | Run-time variable data를 관리 부팅한 후의 시스템 정보를 관리하는 디렉토리 |
/tmp | 템프 | 임시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디렉토리 재부팅시에 삭제되며, 정기적으로 10일간격으로 삭제된다. |
/lost+found | 로스트 | 휴지통과 같은 개념 |
*커널 - 하드웨어와 응용프로그램 사이에서 인터페이스의 역할을 하며, 컴퓨터 자원들을 관리하는 역할
즉, 커널은 인터페이스로써 응용프로그램 수행에 필요한 여러가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여러가지 하드웨어(CPU, 메모리) 등의 리소스를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GRUB (GRand Unified Bootloader)
GRUB - bootloader로, 컴퓨터를 켰을때 가장 먼저 실행되는 프로그램
Linux에서 bootloader로 사용되고 있으며, OS의 커널을 로드하고 몇몇 커널 파라메터를 커널에 넘겨주는 역할

*사용자 관리 설정
/etc/passwd에는 시스템에 등록된 사용자의 정보들이 담겨있다.
이 파일을 이욯하여 사용자의 계정과 인증을 관리하게 된다.
여기에 패스워드정보가 있진 않고, /etc/shadow에 암호화된 패스워드를 저장
과거 passwd에 패스워드를 저장했었던 것이 남아 passwd라는 파일명이 됨
*DNS 설정
DNS(Domain Network Server)
도메인 이름을 IP로 변경해주는 서버
실제로 컴퓨터 통신이 이루어질때는 IP를 사용하여 통신이 이루어지는데, 사람이 읽고 쓰기 위하여 사용되는 도메인을 실제 그 도메인이 올라가 있는 웹서버의 IP를 알아와서 해당 서버와 통신을 할 수 있게 해주는 서버
/etc/named.conf

구성 | 설명 |
listen-on port 53 | DNS port 53에 어떤 IP가 접근할 수 있는지 설정 불특정 다수의 유저에게 서비스할땐 {any;};로 설정 사설 DNS로 사용할땐 사설 IP대역만을 고정시켜주어 설정 |
listen-on-v6 port 53 | IPv6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주석처리 :: listen-on과 같이 불특정 다수에게 서비스시 {any;}; |
directory | 실제로 서비스시 DNS의 zone파일 디렉토리 경로를 설 |
dump-file | DNS cache dump 파일 생성 디렉토리 경로 |
statistics-file | 메모리 통계 파일 생성 디렉토리 경로 |
memstatistics-file | |
recursing-file | |
secroots-file | |
allow-query | 재귀 질의가 올 때 응답할지에 대한 설정 보안상의 문제가 있을 경우 재귀쿼리를 받을 때 IP대역만을 허용하며, 일반적으로 {any;};를 사 |
*커널모듈
리눅스 커널이 부팅되어 동작중인 상태에서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동적으로 추가하거나 제거할 수 있게 하는 개념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RHEL8 방화벽 - Firewalld (0) | 2024.05.02 |
---|---|
Linux - Yum Repository (0) | 2024.05.02 |
Linux 명령어 (0) | 2024.04.30 |
Linux - 오라클 11G 초기설 (0) | 2024.03.05 |
Linux(Centos7) - 기본설정 (0) | 2024.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