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nux

Linux - Yum Repository

Yum Repository

Yum은 RHEL의 패키지 관리도구로 RHEL 패키지를 쉽게 설치, 업데이트, 삭제 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일반적으로 rpm형태의 프로그램을 설치하게 되면 의존관계가 있는 프로그램들을 각각 설치해야 하는데, Yum을 이용하면 패키지 형태로 설치가 되기 때문에 의존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일부 기업에서는 Local Yum Repository를 설정하는데,

외부 네트워크(인터넷)가 연결되지 않기 때문에 해당 로컬 서버의 설정하여, 패키지의 일관된 버전관리 및 보안 정책 준수를 하고 있으나,

외부네트워크과 연결되지 않기 일반 Yum Repository에서 패키지의 업데이트를 관리하지 못하기 때문에 최신의 버전으로 관리가 어렵다.

*보안 정책 : 기업이나 조직이 정보 보호와 관련된 일련의 규칙과 절차를 의미

예를 들어 특정 버전의 소프트웨어의 보안 취약점이 발견시 대응하기 위하여 검토 및 승인 프로세스를 진행한다.

 

 

 

 

Online Yum Repository 설정 방법

RedHat에서 지원하는 서브스크립션(Subscription)을 사용하는 방법이다.

 

1. RedHat 가입

2. 내 정보 > Subscription 탭에 들어가 Subscription이 2개 있는지 확인

3. 가상 서버로 돌아와 sudo subscription-manager register 명령어 입력후 ID,PW 입력하여 로그인

4. 끝

 

 

Local Yum Repository 설정 방법

 

1. 임의의 폴더에 서버 설치시 사용된 iso 파일을 올린다.

*나는 /run/media/test 폴더에 iso파일을 준비함


 

 

 

2. 마운트할 폴더를 생성 후, 해당 폴더에 마운트

* -t : 파일시스템 타입, iso9660이 CD-ROM의 파일 시스템인 경우 설정되기 때문에 iso의 경우 iso9660을 작성

*o : 마운트 옵션을 설정, CD-ROM 이미지 파일인 iso 파일을 마운트할 경우 loop를 설정하게 된다. 이외에도 읽기전용으로 마운트 등등이 있다.


 

 

3. df로 mount 항목을 확인

최하단에 마운트 됨을 확인


 

 

4. findmnt --types iso9660

마운트 확인


 

 

5. /etc/yum.repos.d/loacl.repo 파일 생성


 

 

6. 해당 내용을 작성

더보기

[rhel-BaseOS]

name=Red Hat Enterprise Linux

$releasever - $basearch - BaseOS

baseurl=file://{마운트한 폴더 경로}/BaseOS/

gpgcheck=0

enabled=1

 

[rhel-AppStream]

name=Red Hat Enterprise Linux

$releasever - $basearch - AppStream

baseurl=file://{마운트한 폴더 경로/AppStream/

gpgcheck=0

enabled=1

 

--------

* gpgcheck : gpg서명 활성화(1), 비활성화(0)

* enabled : 해당 레포 활성화(1), 비활성화(0)

rhel-AppStream > enabled=0으로 수정시 disabled처리됨


 

 

 

7. yum repolist 입력하여 해당 repo가 설정되었는지 확인


 

.

8. yum repo가 설정되지 않았다면 No repositories available 안내가 확인된다.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OpenSSL 명령어  (0) 2024.05.16
RHEL8 방화벽 - Firewalld  (0) 2024.05.02
Linux 명령어  (0) 2024.04.30
Linux 폴더 구조  (0) 2024.04.29
Linux - 오라클 11G 초기설  (0) 2024.03.05